용어

2024년 3월 25일

덕배김 2024. 3. 26. 09:08

RAN (Radio Access Network)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RAN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네트워크의 중심부인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주로 무선 기지국과 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장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NodeB (Evolved NodeB)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무선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의 종류입니다.
LTE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으로, 3GPP(Long Term Evolution)에서 정의된 용어입니다. eNodeB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gNodeB (Next Generation NodeB)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무선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의 종류입니다.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으로, 3GPP에서 정의된 용어입니다. gNodeB는 5G 시스템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기존의 eNodeB보다 더욱 발전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공중 유선 이동 통신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운영자)의 네트워크를 나타냅니다.
PLMN = MCC + MNC

 


MCC (Mobile Country Code)

MCC는 국가를 식별하는 코드로, ISO 3166 국가 코드를 기반으로 합니다.MCC는 일반적으로 3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예를 들어, 미국의 MCC는 310이고, 한국의 MCC는 450입니다.

 


MNC (Mobile Network Code)

MNC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코드로, 국가 내에서 각 이동 통신 운영자(통신 사업자)를 식별합니다.MNC는 일반적으로 2자리 또는 3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예를 들어, AT&T의 MNC는 410이고, Verizon Wireless의 MNC는 20입니다.

SKT : 450 05 
LG : 450 06
KT : 450 08
KT : 450 10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Base Station)의 한 종류이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주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해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 단말기와 교환하여 음성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BTS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맨 마지막에 위치하며,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합니다.주요 기능으로는 무선 신호 송수신, 주파수 스펙트럼 관리, 핸드오버(HANDOVER) 처리 등이 있습니다.

 


DU(Distributed Unit)

DU는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기지국의 일부분을 구성합니다.DU는 기지국의 분산 장치로서, 주로 무선 신호 처리 및 관리 역할을 담당합니다.물리적으로 더 작고 분산된 형태로 설계되어 있으며, 높은 대역폭과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DU는 무선 신호의 처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리, 무선 자원 관리, 데이터 처리 및 라우팅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