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S (IP Multimedia Subsystem) IMS는 IP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기술입니다. IMS는 음성 통화, 비디오 통화, 메시지, 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IP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장치 및 네트워크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3G (Third Generation) 3G는 이동 통신 기술의 세 번째 세대를 나타냅니다. 3G 기술은 고속 데이터 전송, 확장된 데이터 서비스 (예: 인터넷 액세스, 이동 TV 등), 고화질 음성 통화 등을 제공합니다. 3G 기술은 CDMA2000, WCDMA, HSPA 등 다양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LoRa (Long Range) LoRa는 저전력 광..
분류 전체보기

1. 클라우드 도입 배경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으로 가상화된 IT 리소스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개인이나 기업이 서버를 하나 구축하고 싶다면, 기본적으로 우선 컴퓨터를 구매해야하고 cpu, 메모리 카드 ..등 하드웨어를 구매해야 하고 그리고 네트워크 통신망도 연결해야되고.. 즉, 필요할 것이 많습니다.이러한 필요품들을 대신에 데이터를 보관하고 인프라스트럭처(서비스 유지를 위한 IT 장비 모음)와 IT 기술을 빌려주는 서비스가 바로 클라우드입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는 보안 중요한 서비스와 데이터의 경우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하고, 비교적 보안이 덜 중요한 영역은 ..

ignite partition awareness "Ignite Partition Awareness"는 Apache Ignite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 Apache Ignite는 분산 인메모리 컴퓨팅 플랫폼으로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산 환경에서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Partition Awareness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데이터가 어떤 노드에 위치해 있는지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액세스를 최적화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즉, Ignite는 분산된 데이터를 파티션 단위로 관리하며, 이러한 파티션들이 클러스터 내의 여러 노드에 분산됩니다. Partition Awareness는 데이터 처리 작업이 발생할 때 해당 데이터가 어느 파티션에 속하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파티..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Software Life Cycle)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바탕 이 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정의하고 운용, 유지보수 등의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눈 것이다.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와 각 단 계별 주요 활동, 그리고 활동의 결과에 대한 산출물로 표현한다. 소프트웨어 수명 주기라고도 한다.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를 표현하는 형태를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이라고 하며,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형 또는 소프트웨어 공학 패러다임이라고도 한다. 소프트웨어 공학 소프트웨어 공학(SE; Software Engineering)은 소프트 웨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된 학문이며 여러 가지 방법론과 도구, 관리 기법들을 통하여 ..

카프카에 대해 공부하기 위해 많은 자료를 찾아봤는데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찾은 자료 중 이해하기 수월한 부분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카프카를 알기 전에 앞서 이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벤트(event) 프로그램에 의해 감지되고 처리될 수 있는 동작이나 사건을 말합니다. 브라우저에서의 사용자가 클릭을 했을 때 스크롤을 했을 '때' 필드의 내용을 바꾸었을 때고객이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았을 때 상품을 구매했을 때키보드를 눌렀을 때 예금이 입금됐을 때 DB에 값이 insert 됐을 때 이벤트는 사용자의 어떤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이벤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Event streaming 여러 종류의 클라이언트에서 이벤트는 실시간으로 발생하며, 이런 이벤트를 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으로 가상화된 IT 리소스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개인이나 기업이 서버를 하나 구축하고 싶다면, 기본적으로 우선 컴퓨터를 구매해야하고 cpu, 메모리 카드 ..등 하드웨어를 구매해야 하고 그리고 네트워크 통신망도 연결해야되고.. 즉, 필요할 것이 많습니다. 이러한 필요품들을 대신에 데이터를 보관하고 인프라스트럭처(서비스 유지를 위한 IT 장비 모음)와 IT 기술을 빌려주는 서비스가 바로 클라우드입니다. 쉽게 말해 돈 대신 데이터를 취급하는 은행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아니면 IT자원의 렌탈샵 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필요시 편리하게 컴퓨팅 자원에 접근해 데이터를 처리, 연산할수있도록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해놓..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줄여서 NAT)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IP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한 마디로 Network Address인 IP를 변환(Translation)하겠다는 뜻입니다.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입니다. IP 주소에는 Public IP(공인 IP)와 Private IP(사설 IP)가 있습니다. IP를 굳이 두 종류로 나눈 이유를 간단히 말하자면 IPv4 주소의 낭비를 막고 공인 인터..

IP (Internet Protocol) IP는 컴퓨터 및 기타 네트워크 장치들이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에서 서로 식별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체계입니다.IP 주소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때 사용되는 고유한 식별자입니다.데이터 패킷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전달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가 목적지로 정확하게 라우팅됩니다. IP 종류 IPv4 IPv4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IP 버전입니다. 이는 32비트로 표현되며 보통 네 개의 0부터 255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 네 부분으로 나뉩니다. 예: 192.0.2.1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자 수가 급증하면서 IPv4 주소가 고갈될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이러한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주소가 바로 IPv6입니..